카테고리 전체102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면 일어나는 일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면 일어나는 일. 우리 일상생활에서 항상 사용하는게 웹 사이트이며, www.naver.com과 같은 도메인을 사용하여 사이트에 접속한다. 과연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주소창에서 주소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치면 무슨일이 일어날까? AWS 한국 블로그를 읽어보면서 알아보자. 기초 지식 웹 브라우저에 URL(https://channy.creation.net/blog)을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르게 되면, 브라우저는 인터넷에서 사이트를 호스팅하는 서버를 파악해야한다. 이는 channy.creation.net 도메인을 검색하여 주소를 찾는다. 서버나 휴대폰, 스마트 냉장고 등 인터넷의 각 디바이스에는 IP주소라는 고유한 주소가 있다. IP주소에는 3.34.220.186와 같은 4.. 2022. 9. 29. 23:15 Babel과 polyfill Babel 바벨은 자바스크립트 컴파일러이다 . ECMAScript 2015+ 코드를 이전 버전의 JavaScript로 변환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도구 체인이다. 아래는 바벨이 할 수 있는 주요 기능이다. - 변환 구문 - 대상 환경에서 누락된 폴리필 기능(core-js와 같은 폴리필을 통해) - 소스 코드 변환(codemods) // Babel Input: ES2015 arrow function [1, 2, 3].map(n => n + 1); // Babel Output: ES5 equivalent [1, 2, 3].map(function(n) { return n + 1; }); JSX 에서의 Babel 다음과 같은 커맨드 명령어로 설치 할 수 있다. npm install --save-dev @babel/.. 2022. 9. 29. 16:05 리액트 가상 DOM(React Virtual Dom) React Virtual DOM React 가상 DOM을 알기 위해선 우선 DOM의 개념부터 알아야한다. DOM(Document Object Model): 문서 객체 모델 문서 객체 모델(DOM)은 XML 이나 HTML 문서에 접근하기 위한 일종의 인터페이스이다. 이 객체 모델은 문서 내의 모든 요소를 정의하고, 각각 요소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한다. 이러한 DOM은 W3C의 표준 객체 모델이며, 다음과 같은 계층 구조로 표현된다. DOM(Document Object Model)의 종류 1. Core DOM : 모든 문서 타입을 위한 DOM 모델 2. HTML DOM : HTML 문서를 위한 DOM 모델 3. XML DOM : XML 문서를 위한 DOM 모델 DOM(Document Object Model.. 2022. 9. 28. 00:29 웹 표준의 개념 웹 표준은 과연 무엇일까? 웹 표준(Web Standard) 웹 표준이라는 정의는 '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'이란 말을 의미한다. 이는 어떤 브라우저의 환경이던 웹 페이지가 똑같이 보이고 정상적으로 잘 동작하게 해야 한다 라는 말을 의미한다. 웹 표준은 W3C(World Wide Web Consortium) 에서 월드 와이드 웹을 위한 표준을 개발하고 장려하는 조직으로 웹 표준의 가이드라인이 정해진다. W3C에는 HTML, CSS, Javasciprt 등의 대한 규정을 담고 있다. 웹 표준 준수 이유 국내 웹은 특정 브라우저의 사용자들의 이용환경과 비 표준 페이지, 과도한 플러그인 사용으로 노약자, 장애인등의 사용이나 모든 사용자들이 운영체제 및 웹 브라우저 등의 정보 접근 제약이 있음... 2022. 9. 26. 10:11 블로그 시작하기 [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] 블로그를 세팅 하면서 네이버에 티스토리 블로그를 노출하려면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등록해야 한다. https://searchadvisor.naver.com/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와 함께 당신의 웹사이트를 성장시켜보세요 searchadvisor.naver.com 우선 위 링크를 클릭하여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 접속하고 로그인을 한다. 그 다음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에서 웹 마스터 도구를 클릭한다. 그 후 사이트 등록에서 자신의 티스토리 사이트를 등록해준다. 클릭 후 HTML 태그를 복사한다. 다시 티스토리 블로그로 돌아와서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> 스킨 편집으로 들어와서 우측 상단에 html 편집을 클릭한다. 태그 사이에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에서 복사한 정보를 붙여넣고 적용버튼 클릭.. 2022. 9. 22. 23:45 티 스토리 블로그 시작. 주 목적은 나의 개발 스터디를 기록화하는 습관을 들이기가 주 목적이고 부 목적은 열심히 쓴다면 부가 수익 창출..! 꾸준히 습관화하며 열심히 해보자.! 2022. 9. 22. 23:05 이전 1 ··· 14 15 16 17 다음 728x90